문화공감

목차보기
문화공감
Print Friendly, PDF & Email
문화공감 – 릴레이기고 #3
당신에게 예술은 무엇입니까?
김효준 / 부산대학교 철학과 학부생
제72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 종려상을 수상한 영화 「기생충」에서 기우가 연교의 집에 걸린 다송의 그림을 보고 이런 말을 한다. “굉장히 상징적이네요” 사실 그냥 아이의 그림이라 “잘 그렸네요”라고 해도 괜찮은데, “상징적이네요”라는 말을 함으로써 전혀 다른 맥락을 가진다. 상징성을 가진다는 말의 의미는, 그림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있다는 말이므로 기우의 말로 인하여 평범한 아이의 그림이 아니라 하나의 작품이 된다. 그러나 우리가 영화에서 그림을 보고 저것을 예술 작품이라고 인정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우리는 왜 저것을 작품이라고 인정하기 어려웠을까?

옥승철, 「Deadlock, 2018」
왼쪽의 사진1)은 2019년 대구미술관에서 열린 <팝/콘> 전시회에 전시됐던 팝아트 그림이다. 우리는 이 그림을 보고 아마 예술 작품이라고 칭할 것이다. 두 그림의 차이가 무엇이길래 하나는 작품이 아니고 하나는 작품이냐고 묻는다면, 쉽게 답하기 어려울 것이다. 답하기 어려운 이유는 하나다. 현대 예술에는 무엇이 예술이고, 무엇이 예술이 아니라는 기준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미켈란젤로가 「천지창조, 16C」를 그리던 시대의 그림은, 전체적으로 평면적이고 정적이며, 구도는 안정적이며, 장면이 정지된 듯한 느낌을 준다.2)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인체 비례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인간을 그릴 때는 당시에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한 인체의 비율에 맞게 묘사했다.
이와 반대로 마르셀 뒤샹의 「샘(Fountain), 1917」을 보자. 소변기에 R.Mutt라고 서명한 것 말고는 다른 변기와 다를 바 없는 소변기는 1999년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1,700만 달러에 팔렸다. 지금도 뒤샹의 작품은 일반인들에게는 의문점이다. 뒤샹의 작품이 그토록 비싼 가격에 경매에 팔린 이유는 다름 아닌, 그가 처음으로 이를 작품이라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뒤샹 이후의 예술사조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흘러갔다. 기술의 발전과 전쟁, 고도의 산업화 과정에서 등장한 작품들은 과거 예술이 가졌던 의미에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뒤샹이 시작한 레디메이드(ready-made) 미술을 팝아트에서 성공한 이가 앤디 워홀이었고, 그는 예술과 일반 사물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일에 성공했다.
과거의 예술 개념과 현대의 예술 개념이 다른 이유는, 과거에는 객관적 진리가 존재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면, 현대에는 객관적 진리가 부재한다는 사유가 만연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아름다움(美)이라고 부르는 것을 생각해보자. 다빈치의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과거에 아름다운 인간이란 완벽한 비율을 가진 백인 남성이었다. 과거에는 이것의 근거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지지 않았다. 신의 형상을 본 떠 만든 것이 인간이니, 이는 당연한 얘기였다. 그러나 신이 존재한다고 굳건히 믿던 시대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인간은 이성적 동물이라는 문장은 전쟁을 통하여 지워졌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입장에선 사상가들은 전통적인 담론들을 비판했고, 아름다움 또한 여기서 자유롭지 못했다.
“즉 : 한 낱말의 의미는 언어에서 그것의 사용이다. 그리고 때때로 한 낱말의 의미는 그 소지자를 가리킴으로써 설명된다.”3)
라는 문장은 많은 개념에 의문을 던졌다. 비트겐슈타인이 말하듯, 우리가 일상에서 책, 의자, 빵 등은 가리킬 수 있다. 하지만 빨강, 다섯, 사랑, 정의, 아름다움 등은 가리킬 수 있는가? 이와 같은 낱말의 의미는 고정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낱말의 사용을 봐야 한다. 이를 통하여 아름다움은 과거의 고정된 의미에서 벗어났고, 이제는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것으로 남겨졌다. 과거 예술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도구적 역할을 했다면, 현대에는 무엇을 표현하는지는 중요하지 않아졌다. 표현하고 있는 자기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예술의 과제가 됐다.4)
이후 예술은 끊임없이 자기 정체성에 대한 물음을 던졌지만, “나에게 이것이 왜 예술인가?”라는 질문은 계속해서 우리 주위를 맴돌고 있다. 키치의 등장은 이런 질문조차도 엘리트적 예술의 산물이라 생각할지도 모른다. 카를 마르크스가 『정치 경제학 비판 서문』에서”인간의 의식이 그의 존재를 규정하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인간의 사회적 존재가 그의 의식을 규정한다”라고 했던 말은 지금도 유효하다. 오페라와 뮤지컬을 즐기는 비용은 지금도 경제적 하층민에게는 부담되는 것이 사실이니까. 위의 질문에 키치 문화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그냥 즐기기만 하면 안 돼?”
그냥 즐기기만 하는 것이 현대에 일반적으로 예술을 대하는 태도다. 노래를 듣거나, 영화를 본 다음 우리는 약속이라도 한 듯 ‘이거 좋다’, 혹은 ‘별로다’라고 말한다. 여기에 우리가 ‘왜 좋아?’, 혹은 ‘왜 별로야?’라고 물으면 우리는 답하기 어려운 사정에 놓인다. 뭔가 좋은 느낌은 드는데, 이게 왜 좋은지 딱 잘라 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즐기기만 해도 문제는 없지만, 현대인에게 “나로 살기”가 꾀나 중요한 과제가 됐다면, 예술이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은 못 해도, 최소한 작품을 즐긴 다음에 이것이 왜 좋았는지는 답을 해야 한다. “나로 살기”를 말하면서,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뭔지도 제대로 말하지 못한다면, “나”로 살지만 “나”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모순적인 상황이 아니겠는가?
“굉장히 상징적이네요”라고 말했던 기우의 말로 다시 돌아가자. 누군가에게는 아무런 가치가 없는 작품도, 당신에게는 데미안 허스트의 「신의 사랑을 위하여」와 같은 가치를 지닐 수 있다. 꼭 미술관에 전시되어야만, 누군가가 인정해야만 예술 작품인 것이 아니다. 당신이 마음에 든다면 그것이 곧 당신에게는 작품일 것이다. 대신 다른 누군가에게 말하지 않더라도 자신에게 말해야 한다. 이게 왜 예술일까, 이게 왜 좋을까.
  • 1) 옥승철, 「Deadlock, 2018」, http://www.yellownacho.com/
  • 2) 조창오, 『예술의 종말과 현대예술』, 상상창작소 봄, p.63
  • 3)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이영철 옮김, 책세상, p.52
  • 4) 각주 2)와 같은 책, p.160